윈도우에서 깔끔한 폰트 보기, Mactype 설치법
Mac을 한번이라도 만져보신 분들은 Mac의 폰트가 윈도우보다 뭔가 훨씬 선명하다는 걸 느끼실 텐데요.
해상도 탓도 있지만 그냥 윈도우의 폰트 렌더링이 구린탓이 큽니다. (윈도우 입장에서는 이런 저런 이유가 있겠지만) 역체감을 느끼기 시작하면 그때부터 눈은 저주받은 상태가 되는데 다행히도 맥 폰트 렌더링을 윈도우에서 모방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그 설치법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적용하기 전
---------------------------------------------------------------------------------------------
적용한 후
체감이 좀 되시나요?
아래의 과정을 천천히 따라와 주세요.
다운받아야 할 것들:
(설치해야 하는 것들은 따로 설치법을 설명드리진 않겠습니다. 글이 너무 길어지기 때문에..)
1. Mactype
(2019년 07월 기준 최신버전 : MacType 2019.1-beta6)
https://github.com/snowie2000/mactype/releases
snowie2000/mactype
Better font rendering for Windows. Contribute to snowie2000/mactype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2. Kopub돋움체 (원하시면 다른 폰트로 커스터마이징 하셔도 됩니다)
http://www.kopus.org/Biz/electronic/Font2.aspx
:::: KOPUS index ::::
한국출판인회의는 출판관련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출판 정책ㆍ기획, 독서진흥, 유통환경개선, 출판교육, 전자출판, 대외협력을 통해 출판문화 주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www.kopus.org
3. Firefox 67.0.4
기존에 파이어폭스 최신 버전을 쓰고 계시다면 다운그레이드 하셔야 합니다.
(중요: 파이어폭스 설치 후에 바로 실행하지 마시고 아래 레지스트리 적용시켜 주세요,
그냥 실행하면 구버전이라 멋대로 업데이트합니다.)
아쉽게도 크롬은 몇년 전 업데이트 이후로 DirectWrite 비활성화 기능이 막혀 Mactype 적용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Mactype을 쓰려면 무적권 파이어폭스를 써야합니다.
Directory Listing: /pub/firefox/releases/67.0.4/win32/ko/
ftp.mozilla.org
Directory Listing: /pub/firefox/releases/67.0.4/win64/ko/
ftp.mozilla.org
4. Firefox 업데이트 비활성화 레지스트리
(파이어폭스 설치 후에 실행하지 마시고 이것 바로 적용시켜주세요.)
5. Advanced System Font Changer
https://www.wintools.info/index.php/advanced-system-font-changer
Advanced System Font Changer - WinTools.Info
With the Advanced System Font Changer, the system settings for text rendering in Windows OS can be changed. The software is designed to fill the gap created by Microsoft's decision to discontinue the option for setting the font sizes used by the system in
www.wintools.info
까지 받으면 끝입니다.
-----------------------------------------------------------------------------------
이제부터 적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Advanced System Font Changer를 실행시켜 주세요, 윈도우 기본 폰트를 바꿔주는 툴입니다.
설정 백업할거냐고 물어보는데 대충 아무데나 백업해두시면 됩니다.
형광펜 쳐진 저 부분을 클릭하시면,
이런 창이 뜨는데 이런식으로 원하는 폰트를 설정해주시고, 스타일은 취향따라 선택해주세요
모든 폰트를 그림 1처럼 원하시는 걸로 바꾸셨다면 그림 1의 오른쪽 Apply를 눌러서 적용시켜 주세요.
아마 로그오프 후 다시 들어오시면 폰트는 적용이 되어있을 겁니다.
위에서 받은 Mactype을 설치하셨다면 시작 - 프로그램 목록에 Mactype이 생깁니다.
이 중에 Mactype Wizard를 클릭해 실행시킵니다.
혹시 이 화면이 중국어로 나오신다면 오른쪽 상단에 언어 선택이 있으니 영어나 한국어로 바꿔 주세요.
Mactype의 동작 방식은 레지스트리 모드와 서비스 모드로 나뉘는데요,
Secure Boot라는 기능이 켜져 있다면 레지스트리 모드가 작동을 하지 않는 이슈가 있습니다.
그게 뭐지? 라는 생각이 드시면 그냥 서비스 모드를 추천드립니다.
모드 선택이 끝나셨으면 Next를 눌러줍니다.
저 FT Opt 프로필을 선택해서 Finish 버튼을 눌러 적용시키신 후에 시스템을 재부팅 해줍니다.
파일 탐색기에 적용된걸 확인하셨다면 일단 윈도우 적용은 끝입니다.
-------------------------------------------------------------------------------------
이제 웹브라우저에 적용을 해야 하는데, 아까 설치했던 파이어폭스를 켭니다.
우측 상단 메뉴를 눌러 설정에 들어갑니다.
설정 화면에서 바로 보이는 이 버튼을 눌러서,
원하는 글꼴을 저렇게 세개 다 설정해주신후에,
아래 "위에 선택된 글꼴 대신에 페이지 글꼴 설정 표시 허용" 을 체크 해제 해줍니다. (기본값 : 체크)
이것까지 하셨다면, 이제 마지막 단계입니다.
파이어폭스 주소창에 about:config를 입력해 고급 환경 설정 창으로 이동합니다.
gfx.direct2d.disabled의 값을 true로 바꿔줍니다.
gfx.content.azure.backends의 값도 direct2d1.1,skia,cairo (기본값) -> direct2d1.1,cairo 로 바꿔줍니다.
여기까지 하신 후에 파이어폭스를 껐다가 다시 켜줍니다.
.
.
.
.
.
.
적용이 완료되었습니다.